호남권역재활병원 > 이용안내 > 진료/재활치료소개
작업치료
소개
작업치료는 작업을 통해 건강과 안녕(웰빙)을 향상하는데 관여하는 클라이언트-중심의 보건전문분야입니다. 작업치료의 주된 목표는 사람들이 매일의 삶에서의 활동에 참여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작업치료사는 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그 사람과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그 사람들이 원하거나, 필요하거나, 그들이 하도록 기대되는 작업에 참여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일을 하거나, 작업 참여를 더 잘 할 수 있도록 작업이나 환경을 조정하기도 합니다.(세계작업치료연맹;WFOT, 2012).
대상
중추 신경계 손상(뇌졸중, 외상성뇌손상, 척수손상 등), 퇴행성 중추신경계 질환(다발성 경화증, 파킨슨, 알츠하이머 등), 관절염, 손 손상, 누적외상성질환, 화상, 절단, 고관절 전치술 등 신체기능장애 및 인지 지각 기능 장애, 일상생활 동작 기능 장애, 삼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실시합니다.
평가
작업치료실에서는 환자의 상태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고, 일상생활, 지역 사회 복귀를 위해 필요한 신체기능, 인지-지각 기능, 감각 상태 및 일상생활의 독립적인 수준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치료 내용
사람들이 사회 복귀 및 일상생활 참여에 필요한 신체 재활 및 인지재활, 연하재활, 일상생활동작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특수 작업치료
상지의 근력 약화, 관절 구축, 감각 저하, 정확성과 세밀성을 요구하는 상지 동작 능력이 저하된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도구(손기능강화훈련도구 등)들을 이용하여 주로 상지 근력 강화, 미세동작훈련, 관절가동범위운동, 감각 자극 훈련 등의 방법으로 반복된 교육을 통해 정상적 기능을 유도합니다.
연하곤란
입술을 다물거나 벌리는 입술 조절 능력, 빠는 능력, 저작 능력, 혀의 조절 능력, 삼키는 능력 저하 등으로 인해 음식물을 입으로 먹을 수 없거나, 사례가 걸리는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치료 기법(온도자극, 구강운동, 호흡 및 발성 운동, 촉진기법, 식이조절),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기기(Vital stim)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식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인지재활
뇌의 기질적 병변으로, 고차원의 뇌 기능을 사용하는 능력이 손상된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CNT, Rehacom, Cogrehab)를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주의력, 집중력, 사고력, 기억력, 정보처리능력, 대화능력, 행위능력, 학습 및 문제해결능력 등의 향상을 도모하는 훈련을 시행합니다.
일상생활활동(ADL)
일상생활활동은 개인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매일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일련의 활동으로, 옷 입기, 식사하기, 샤워하기 등 기본적인 활동과 쇼핑하기, 재정관리, 집안 관리 등 수단적인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를 대상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행합니다.